본문 바로가기
성격심리학

성격심리학의 심리검사(투사적 성격 검사)

by 유미해 2024. 10. 31.
반응형

성격심리학의 심리검사(투사적 성격 검사)

자기보고에 의존하는 성격검사는 객관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성격의 무의식적이고 심층적인 특성으로 개인에게 잘 의식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검사 도구가 투사적 성격 검사 이다. 투사적 성격검사는 피검자에게 분명하지 않는 자극을 꺼내놓아 그의 성격적 특성이 투사된 반응을 유인하고 검사 반응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피검사의 무의식적인 성격특성을 평가 할 수 있다. 투사적 성격 검사로는 로르샤흐 검사, 문장완성검사, 그림 그리기 검사, 주제통각검사가 있다. 첫 번째로 로로샤흐 검사는 헤르만 로르샤흐에 의해 1921년에 개발된 가장 대표적인 투사적 성격 검사이다. 이 검사는 데칼코마니 양식으로 된 대칭형의 잉크 얼룩으로 이루어진 10장의 카드로 되어 있다. 이 그림을 피검사자에게 하나씩 보여주면 그림이 무엇처럼 보이는지 말하게 한다. 10장의 카드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을 모두 자세하게 기록하며 반응이 끝난 후에는 검사자가 다시 카드를 보여주며 피검자가 사물의 어떤 특성 때문에 그런 반응을 하게 되었는지 확인한다.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각 반응은 정해진 채점 항목과 기준에 따라서 채점된다. 채점의 항목은 반응 영역(피검자가 반응한 카드의 부분), 결정요인(피검사자 반응을 결정하는 큰 영향을 준 잉크 자국의 특징), 반응의 독창성(피검자의 반응의 창의성이나 독특성), 반응형태질(잉크자국의 특징에 대한 반응의 적절성)이다. 그 밖에로는 반응시간, 채점 항목 간의 비율 및 관계, 반응 수 등에 계산된다. 이런 항목들의 채점 결과를 종합적으로 따져서 개임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게 된다. 투사적 검사의 특징으로 검사 결과의 해석이 다양하다. 이 검사도 마찬가지로 피검자가 나타낸 반응을 채점하여 그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이 다양하다. 이는 객관적 해석 방법과 임상적 해석 방법으로 나뉜다. 객관적인 해석 방법은 통계적인 자료를 근거하여 해석 하는 것이고 임상적 해성 방법은 임상가의 주관적 경험을 강조하는 해석 방법이다. 따라서 해석 방법에 따라서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하지만 로르샤흐 검사를 위해 무의식적 갈등, 개인이 지니는 사고나 공상의 주된 내용, 정서 조절 상태 및 능력, 욕구와 충동, 인지적 접근 양식 등을 평가 할 수 있다. 또한, 자아 강도, 현실 검증력, 충동통제력과 같은 많은 심리적 적응 능력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 장면에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두 번째를 문장완성 검사이다. 문장 완성 검사는 검사지에는 문장의 첫 부분만을 제시하고 피검자가 미완성된 뒷부분을 채워 넣도록 하는 검사이다. 문장 완성 검사를 통해서 개인의 자기 개념, 미래와 과거에 대한 생각과 태도, 타인과 부모에 대한 의식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성격적 특성과 심리적 평가를 할 수 있다. 그 문항의 예로는 내가 가장 원하고 있는 것은?”, “나의 가장 큰 고민은?”, “부모님과 나는?”, “나의 어린 시절은?” 등이 있다. 피검자가 모든 문장을 완성한 후에 검사자는 의미 있는 문항에 대한 심층적인 질문을 통해서 피검자의 태도나 내적 갈등이 무엇이 있는 좀 더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다. 세 번째는 그림 검사이다. 그림 그리기 검사는 코피츠에 의해 1968년 제시 되었다. 그림 그리기는 비언어적 언어로써 언어로 표현하기 쉽지 않은 내면의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 좋은 평가 방법이다. 개인은 무의식적인 갈등이나 욕망, 소망들이 예술작품이나 꿈으로 표현될 수가 있다. 따라서 그림 그리기를 통하여 개인의 특성과 함께 무의식적인 심리적 내용이 표현될 수 있다. 특히 아동은 개인의 특성을 언어로 표현하기 힘들고 그림 그리기는 자연스러운 표현 수단 중 하나로서 방어적 태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솔직한 내면 상태를 잘 들여다볼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그림 검사로는 인물화 검사와 짐-나무-사람 검사가 있다. 인물화 검사는 굿이너프에 의해서 1926년에 개발된 검사로 하얀 종이 위에 사람을 그리도록 하는 그림그리기 검사이다. 그려진 그림의 많은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성격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그림 해석을 위한 채점 지표로는 의미 있는 특징, 질적인 지표, 생략된 신체 부위가 있다. 의미 있는 특징의 예로는 몸에 비해 작은 머리, 이가 드러나는 그림, 짧은 팔, 큰손, 손이 없음, 다리가 겹쳐있음, 열십자로 그린 눈, 괴물 그림, 성기, 3명 이상의 그림 등이 있다. 질적인 지표로는 몸통이나 사지 부분의 음영, 사지 비대칭성, 기울어진 그림, 큰 그림, 작은 그림, 투명성, 부분들의 통합이 빈약함 얼굴의 음영 등이 있다. 생략된 신체 부위로는 눈, , , 다리, , , 목 등이 있다. 검사자는 그림의 한 가지 특성이 특정한 성격 특징을 반영하는 것으로 기계적이고 단정적이어서는 안 된다. 해석 내용을 뒷받침하는 다른 평가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신중하게 해석 야 한다. -나무-사람 검사는 HTP검사라고도 한다. 이 검사는 벅에 의해 개발되고 해머에 의해 발전 되었다. 이 검사는 하얀 종이 위에 피검자가 집, 나무, 사람을 각각 그리게 한다. 그 그림의 특징을 분석해서 피검사의 정서 상태, 대인관계, 가족관계, 자기상을 포함한 성격적 특징을 평가한다. 집 그림은 가족과 가정에 대한 내면적인 표상을 반영한다. 나무 그림은 무의식적인 자기 표상을 반영한다. 마지막으로 사람은 피검자의 좀 더 의식적인 자기 표상을 나타낸다. 검사자는 그림을 그린 후 피검자에게 질문을 함으로써 그림 해석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검자가 그림을 그려나가는 순서와 방식, 그림의 대칭과 크기, 위치, 글 쓸 때 누르는 정도, 선의 특징, 세부적 묘사, 왜곡 및 생략, 지우기, 투명성, 움직임 등과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채점하여 해석한다. 마지막은 주제통각검사 이다. 이 검사는 머레이와 모건에 의해 1935년에 개발된 검사이다. 이 검사는 20장의 카드가 주어지는데 그림은 피검자가 쉽게 동일시할 수 있는 인물과 상황을 묘사하였다. 검사자는 카드를 피검자에게 하나씩 보여주며 그림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보도록 요청한다. 그림에서 현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고, 그림에서의 인물들이 어떤 심리적 상태에 있는지 관해서 상상력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보라고 요청한다. 머레이는 피검자는 모호한 상황을 자신의 현재 소망과 과거 경험을 통해서 해석한다고 했다. 다시 말하면 개인은 자극을 해석할 때 자신의 경험을 동원하여 인식하는 통각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피검자가 말한 이야기들은 피검자의 현재의 관심과 욕구, 심리적 갈등, 과거 경험, 상상 및 공상 내용, 무의식적 충동 등과 같은 성격적 요소가 녹아 들어가 있다. 검사자는 많은 채점 기준에 따라서 피검자의 심리상태, 갈등, 문제해결 방식, 욕구 및 동기, 환경에 대한 지각과 대처방식 등을 평가 할 수 있다. 특히, 피검자가 보고하는 이야기의 주인공, 주인공의 욕구, 대상에 대한 주인공의 감정, 주인공의 내적 심리상태, 주인공의 행동 표현 방식, 환경 자극의 압력, 최종 결론에 주목해서 평가해야 된다. 이러한 방법은 개인의 욕구와 환경적 압력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으로 욕구-압력 분석법이라고 불린다.

반응형